본문 바로가기
보험

2025년 3분기부터 가능!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받는 법, 당신도 해당될까?

by korean TN 2025. 3. 17.

며칠 전, 오랜만에 만난 고등학교 동창과의 대화에서 깊은 인상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는 "요즘 부모님이 노후 자금 걱정 때문에 잠을 못 주무신다더라"라며 한숨을 내쉬었죠. 그러면서 "종신보험을 들어놓긴 했는데, 사망보험금이 생전에 도움이 안 된다니 아쉽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많은 이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받는 법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받는 법

 

 그런데 놀랍게도, 2025년 3분기부터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가 도입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 제도는 노후를 준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궁금증을 풀기 위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러분이 궁금해할 만한 질문에 하나씩 답하며,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의 모든 것을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3줄 요약

- 2025년 3분기부터 만 65세 이상 종신보험 계약자는 사망보험금을 최대 90%까지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 계약 기간 10년 이상, 피보험자와 계약자가 동일해야 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지급액이 증가한다.

- 약 11조 9천억 원 규모의 계약이 대상으로, 노후 소득 보완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1.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란 무엇인가요?

 2025년 3분기부터 시행되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만 65세 이상 종신보험 계약자들이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획기적인 변화입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이 제도는, 기존에 사망 후에만 지급되던 보험금을 연금이나 노후 서비스 형태로 미리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약 33만 9천 건, 11조 9천억 원 규모의 계약이 대상으로 예상되며, 이는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생활 지원이 될 전망입니다.

 

2. 이 새로운 제도는 어떤 보험사에서 제공되나요?

 이 제도는 특정 보험사에 국한되지 않고, 준비가 완료된 생명보험사라면 누구나 순차적으로 상품을 출시할 수 있습니다. 2025년 3분기부터 각 보험사가 자체적으로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내놓을 예정인데요.

 

 예를 들어,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주요 보험사들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정확한 참여 보험사는 출시 시점이 가까워져야 확인할 수 있으니, 본인의 보험 계약이 해당되는지 알아보려면 가입한 보험사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3.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 사망보험금의 최대 비율은 얼마인가요?

 사망보험금 유동화의 핵심은 최대 90%까지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사망보험금이 1억 원인 경우, 최대 9천만 원을 생전에 연금이나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고, 나머지 1천만 원은 사망 시 수령 가능합니다. 이는 전액 유동화가 아닌 부분 유동화 방식으로, 상속자에게도 일정 금액을 남길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입니다. 이 비율은 계약자가 원하는 대로 60~90%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어 유연성도 갖췄습니다.

 

4. 계약 기간이 10년 이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계약 기간 10년 이상’은 보험 계약이 시작된 시점부터 만기까지 최소 10년 이상 유지된 경우를 뜻합니다. 즉, 보험에 가입한 지 10년이 지나야 이 제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의미죠. 예를 들어, 2010년에 가입했다면 2025년에는 15년이 지나므로 조건을 충족합니다.

 

 이는 단기 계약이 아닌 장기적인 종신보험 계약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주로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가입한 금리확정형 종신보험이 해당됩니다.

 

5. 피보험자와 계약자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되나요?

 아쉽게도 이 제도는 피보험자와 계약자가 동일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즉, 본인이 보험료를 납입하고(계약자), 동시에 보험 혜택의 대상(피보험자)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를 위해 부모가 가입한 보험은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달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제도가 개인의 노후 소득 지원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으로, 본인의 보험 계약 조건을 꼭 확인해 보세요.

 

6. 연금 형태로 받을 때 연령이 높을수록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나 증가하나요?

 연금 수령 시 연령이 높을수록 월 지급액이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예시를 보면, 40세에 가입해 월 15만 1천 원을 20년간 납입한 1억 원 보험을 70% 유동화했을 때, 65세부터 받으면 월 18만 원(납입액의 121%)을 수령합니다. 반면, 80세부터 받으면 월 24만 원(납입액의 159%)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약 15년 차이로 월 6만 원, 즉 33%가량 더 받는 셈입니다. 이는 수령 기간이 짧아질수록 지급액이 집중되기 때문이며, 정확한 금액은 보험사의 예정 이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7. 노후 준비에 새로운 희망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노후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연금으로 매달 안정적인 수입을 확보하거나, 요양·간병 서비스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이 제도는 고령화 시대에 꼭 필요한 변화로 보입니다. 본인의 보험이 해당되는지, 어떤 선택이 적합한지 보험사와 상담하며 준비해 보세요.

사망보험금, 생전에 연금처럼
사망보험금, 생전에 연금처럼

 이 글이 여러분의 노후 계획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게요!